top of page

인간성평가의 방식

  • 작성자 사진: 태구 현
    태구 현
  • 2022년 10월 15일
  • 3분 분량

최종 수정일: 4월 16일

1. 역할평가


모든 사회에서는 사회구성원의 삶의 범위를 규정하는 민법(인권법과 물권법)이 존재한다. 사회구성원 대부분은 일상적으로 민법(인권법+ 물권법)의 범위 내에서 삶을 영위한다. 역할평가는 삶의 규정안에서의 삶(경제활동/사회적 역할)에 대한 평가이다.

1) 개성 평가방식 = 객관적 근거에 의한 객관적 평가

* 생산활동에서 개성평가의 방식 = 고유업무의 실적에 근거한 객관적 평가

생산활동에서 자신의 고유업무를 성취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객관적 근거에 의한 객관적 평가이다.

* 소비생활에서 개성평가의 방식 = 정신적 육체적 노동능력에 근거한 객관적 평가

소비생활을 통해서 자신의 정신적 육체적 노동능력을 얼마나 창조했는지를 평가한다. 개인의 정신적 육체적 노동능력의 평가는 IQ, EQ, 적성평가, 체력평가, 신체검사 ... 등등을 통한 객관적 근거에 의한 객관적 평가이다.

2) 사회성 평가방식 = 구성원 상호간의 주관적인 상대평가

​​

* 생산활동에서의 사회성의 평가방식

생산활동에서 협조업무에 충실한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원 상호간의 주관적 평가이다.

구성원의 사회성을 잘 아는 사람은 같은 레벨의 동료들이다. 사회성 평가는 동료들 상호간의 주관적 평가이다.

* 소비생활에서의 사회성의 평가방식

소비생활에서 상대방의 소비욕구에 대한 배려를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원 상호간의 주관적 평가이다.

구성원의 사회성을 잘 아는 사람은 함께 소비생활을 하는 동료나 이웃이다. 사회성 평가는 동료나 이웃 상호간의 주관적 평가이다.

<참고> 사회성평가의 구체적 예


수평적 구성원이 50명인 부서에서의 사회성 평가를 가정하여 보자

투표자는 구성원 각자에게 번호가 부여된 투표용지 50장중에서 자신의 것을 제외한 49장의 투표용지를 받아 투표부스 안에 들어가 자신과 가장 가까운 친목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생각되는 5개의 투표용지를 골라 투표 통에 넣고 나머지 44개의 투표용지는 폐기 통에 버리는 평가방식이다.

<참고> mbc 나가수(나는 가수다) 초기의 평가방식

mbc 나가수프로그램의 초기에 청중평가인 개성평가와 가수들 간의 상호평가인 사회성평가 방식이 있었다. 당시 필자는 이 평가방식을 보고 상당히 놀란 적이 있다. 과연 당시의 프로듀서가 가수들 간의 상호평가를 '사회성평가'로 인식했는지는 의문이다. 아무튼 어떤 이유에서 인지 모른지만 가수들 간의 상호평가는 사라졌다.

2. 공훈과 범죄

사회구성원의 삶을 규정하는 민법(인권법/물권법)의 범위를 벗어난 공훈과 범죄에는 상과 벌이 주어진다. 공훈은 삶의 규정을 능가한 사회성가치의 추구이고, 범죄는 삶의 규정을 이탈한 개성가치의 추구이다. 공훈은 인간성 평가에서 플러스(+) 요인으로 반영되고 범죄는 인간성 평가에서 마이너스(-) 요인으로 반영된다.

1) 공훈 = 삶의 규정을 능가하는 사회성가치의 추구

화재현장에서 위험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생명의 위협을 무릎쓰고 다른 사람을 구조하는 것은 삶의 규정을 능가한 사회성가치의 추구로 공훈이다. 공훈은 인간성 평가에서 플러스요인으로 추가된다.

2) 범죄 = 삶의 규정을 이탈하는 개성가치의 추구

살인, 폭력, 사기, 절도와 같은 것은 삶의 규정을 이탈한 개성가치의 추구로 범죄이다. 범죄는 인간성 평가에서 마이너스 요인으로 추가 된다.

3. 인간성평가

인간성평가 = 역할평가(개성평가+사회성평가) + 공훈평가(+) + 범죄평가(-)




<참고> 개성강조 평가 / 사회성강조 평가

* 개성 강조평가 = 사회성보다 개성이 중요시되는 직업군(기술개발)에서 평가방식

개성평가에서 우수한 사람 중에서 사회성평가를 하여 승진을 결정한다.

* 사회성 강조평가 = 개성보다 사회성이 중요시되는 직업군(군, 경찰, 소방관)에서의 평가방식

​사회성평가에서 우수한 사람들 중에서 개성평가를 하여 승진을 결정한다.


<참고> 평가받지 않는 권력은 독재자이다.


인간본성은 자율을 지향한다. 즉 인본주의 사회구성원은 누구나 평가의 주체이고 평가의 대상이어야 한다. 평가의 주체로서 역할만하고 평가대상에서 제외되어 평가받지 않는 [절대자=독재자]는 존재해서는 안 된다.

* 신분제사회에서 왕들은 모두 평가를 받지 않는 독재자들이었다.

* 헌법재판관, 국회의장, 대통령, 대법원장, 검찰총장 ... 등등 국가기관이 임기만료 시 국민으로부터 평가를 받지 않는다면 독재자이다.

* 구성원으로부터 평가를 받지 않는 생산조직의 장(사장...)은 독재자이다.

* 구성원으로부터 평가를 받지 않는 소비조직의 장(가장, 동호회의 장...)은 독재자이다.

* 구성원으로 부터 평가를 받지 않는 종교단체의 장(신부,목사,종정..)은 독재자이다.

<참고> 평가의 존재는 사회구성원에게 동기를 부여한다. * 개성평가 개성평가의 존재는 조직구성원이 개성가치를 추구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 사회성평가

사회성평가의 존재는 조직구성원이 사회성가치를 추구하는 동기를 부여한다.


<참고> 사회성평가를 도입에 따른 사회의 변화


개성평가만이 존재하는 개인주의 사회의 모든 사회병리는 사회성 평가를 도입함으로서 해결될 수 있다.

1> 우리의 삶에 온기를 돌게 할 것이다.

사회성평가의 도입은 사회구성원에게 사회성가치를 추구하는 동기를 부여함으로 단 10%의 사회성평가를 도입할지라도 삶(정부의 공무/생산활동/소비생활)에 있어서 구성원들 간에 관계가치를 지향하여 사랑, 소통. 배려, 존중, 공감, 친목, 협동, 평등, ... 등등의 온기를 돌게 할 것이다.

2> 범죄는 줄어들고 공훈은 늘어 날 것이다.


범죄는 삶의 규정을 이탈한 개성가치의 추구이고, 공훈은 삶의 규정을 능가하는 사회성가치의 추구이다. 사회성평가의 도입은 범죄를 줄이고 공훈을 증가시킬 것이다.



Comments


Copyright© 2020. 현태구(humany) All rights reserved

  ❤ human loves natur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