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삶의 과정
- 태구 현
- 2022년 10월 15일
- 2분 분량
1. 삶(노동)의 과정
인간의 삶(노동/사회적 역할)이란 생산활동(노동)과 소비생활(노동)을 의미한다. 인간은 생산활동을 통해 생산물을 창출하고, 소비생활을 통해 인간의 노동능력(신체에너지)을 창출한다. 신체에너지는 정신적 육체적 노동능력을 의미한다.
1) 생산주체(회사)의 생산활동(노동)
생산주체(회사)는 생산자원에 소비주체(가계)로부터 공급된 생산노동능력을 결합하여 생산활동을 함으로서 생산물을 창출한다. 생산주체는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생산조직을 의미한다. 생산주체는 집단일 수도 있고 개인일 수도 있다. 생산주체에는 기업(공기업, 사기업), 생산조합, 생산동호회, 생산친목회 ...등등이 있다.

2) 소비주체(가계)의 소비생활(노동)
소비주체(가계)는 소비노동능력에 생산주체(회사)로부터 공급된 소비자원을 결합하여 소비생활을 함으로서 노동능력을 창출한다. 소비주체에는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소비조직을 의미한다. 소비주체는 집단일 수도 있고 개인일 수도 있다. 소비주체에는 가계(사회보장가계, 자활가계), 소비조합, 소비동호회, 소비친목회 ... 등등이 있다.

3) 생산주체(회사)와 소비주체(가계)의 유기적 관계
소비주체(가계)는 생산주체(회사)에 생산노동능력을 공급하고 그 반대급부로 생산주체(회사)로부터 소비자원을 공급받는다. 생산주체(회사)는 소비자원의 공급자이고 가계는 수요자이다. 소비주체(가계)는 생산노동능력의 공급자이고 회사는 수요자이다.
3)1. 생산주체의 사회적 역할
* 생산주체(회사)의 사회적 역할은 양질의 소비자원을 소비주체(가계)에 공급하는 것이다. * 생산주체(회사)는 소비주체(가계)가 공급한 생산노동을 평가하여 소비주체(가계)에게 역할소득(가계소득)을 공급한다.
3)2. 소비주체의 사회적 역할
* 소비주체(가계)의 사회적 역할은 건강한 생산노동능력(정신적/육체적 능력)을 생산주체(회사)에 공급하는 것이다. * 소비주체(가계)는 생산주체(회사)가 공급하는 소비자원을 평가하여 상품가격(물가)을 생산주체(회사)에게 공급한다.

2. 삶(생산활동+소비생활)의 과정의 예

1) 1차 경제활동(생산활동+소비생활)의 설명
1)1. 자연의 쌀
자연의 쌀은 생산자원도 될 수도 있고 소비자원도 될 수 있다.
* 자연 생산자원 자연의 들판에 있는 쌀에서 쌀가루를 생산하였다면 자연의 쌀은 쌀가루라는 1차 생산물을 창출하는데 투입된 생산자원이 된다.
* 자연 소비자원 자연의 들판에 있는 쌀로 밥을 지어 식욕(생리욕구)를 충족시켰다면 자연의 쌀은 1차 노동능력을 창출하는 소비자원이 된다.
1)2. 자연인 노동능력
자연인의 노동능력은 생산노동능력이 될 수도 있고 소비노동능력이 될 수도 있다.
* 자연인 생산노동능력 자연인의 노동능력이 자연의 생산자원인 쌀과 결합하여 1차 생산활동을 하여 1차 생산물인 쌀가루를 창출하였다면 생산노동능력이 된다.
* 자연인 소비노동능력 자연인의 노동능력이 자연의 소비자원인 쌀과 결합하여 1차 소비생활을 하여 쌀로 밥을 지어 식욕(생리욕구)을 충족시켜 1차 노동능력을 창출하였다면 소비노동능력이 된다.
1)3. 1차 경제활동
노동능력은 사용하기에 따라서 생산활동도 될 수 있고, 소비생활도 될 수 있다. 노동능력(정신적 육체적 능력)은 사용하지 않으면 자연적으로 소모된다.
* 1차 생산활동 1차 생산활동은 자연의 생산자원인 쌀에 자연인의 생산노동능력이 결합시켜 1차 생산물(쌀가루)을 창출하는 것이다.
* 1차 소비생활 1차 소비생활은 자연의 소비자원인 쌀에 자연인의 소비노동능력을 결합시켜 밥을 지어 식욕(생리욕구)을 충족시킴으로서 1차 노동능력을 창출하는 것이다.
2) 2차 경제활동(생산활동+소비생활)의 설명
2)1. 1차 생산물
1차 생산물(쌀가루)은 생산자원도 될 수 있고 소비자원도 될 수 있다.
* 1차 생산자원 1차 생산물 쌀가루로 쌀떡을 생산하였다면 쌀가루는 쌀떡이라는 2차 생산물을 창출하는데 투입된 생산자원이 된다.
* 1차 소비자원 1차 생산물 쌀가루로 수제비를 지어 식욕(생리욕구)를 충족시켰다면 쌀가루는 2차 노동능력을 창출하는 소비자원이 된다.
2)2. 1차 노동능력
1차 노동능력은 1차 생산노동능력이 될 수도 있고 1차 소비노동능력이 될 수도 있다.
* 1차 생산노동능력 1차 노동능력이 1차 생산자원인 쌀가루와 결합하여 2차 생산활동을 하여 2차 생산물인 쌀떡을 창출하였다면 1차 생산노동능력이 된다.
* 1차 소비노동능력
1차 노동능력이 1차 소비자원인 쌀가루와 결합하여 1차 소비생활을 하여 쌀가루로 수제비를 지어 식욕(생리욕구)를 충족시켜 2차 노동능력을 창출하였다면 1차 소비노동능력이 된다.
2)3. 2차 경제활동
1차 노동능력은 사용하기에 따라서 2차 생산활동도 될 수 있고, 2차 소비활동(노동)도 될 수 있다. 노동능력(정신적 육체적 능력)은 사용하지 않으면 자연적으로 소모된다.
* 2차 생산활동 2차 생산활동은 1차 생산자원인 쌀가루에 1차 생산노동능력을 결합시켜 2차 생산물(쌀떡)을 창출하는 것이다.
* 2차 소비생활 2차 소비생활은 1차 소비자원인 쌀가루에 1차 소비노동능력을 결합시켜 수제비를 지어 식욕(생리욕구)을 충족시킴으로서 2차 노동능력을 창출하는 것이다.
Comments